<p></p><br /><br />제2차 세계대전 같은 큰 전쟁이 있을 때마다 세계 경제는 파탄나지만 오히려 자동차나 항공기 같은 기술 산업이 크게 발달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죠.<br> <br> 지금 우크라이나 사태가 그렇습니다.<br> <br> 많은 사람들을 빈곤과 공포에 몰아넣는 ‘전쟁’이 방위 산업만큼은 배를 불리게 하고 있는 겁니다.<br> <br> 이 씁쓸한 현실 세계를 보다 김재혁 기자가 짚어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우크라이나 본토를 공격하는 러시아.<br> <br>이에 질세라 우크라이나도 드론 등으로 러시아 군을 정밀 타격합니다. <br> <br> 끝나지 않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.<br> <br>전쟁의 장기화는 세계 경제를 얼어붙게 했고, 특히 세계 주식 시장은 변동 폭이 커 불안한 상황이 이어집니다. <br> <br>[제롬 파월 /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] AP 4371238 3번 싱크 <br>"세계 유가 및 상품 가격 상승 현상이 나타나 해외 경제 활동이 억제될 수 있고, 공급망 붕괴 가능성도 나타나고 있습니다." <br> <br> 그러나 방위산업 업체만큼은 굳건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><br> F-35 스텔스기로 유명한 미국 1위 방위산업체 록히드 마틴 사의 주가는 석 달 새 24% 올랐고, <br> <br>[록히드 마틴 / 광고 현장음] <br>"F-35는 공중, 육상, 해양, 우주 및 사이버 전반에 걸쳐 중요한 정보를 즉시 공유합니다." <br><br> 특히 전쟁이 장기화 될수록 이번 전투에서 각광을 받은 무기 제조업체들의 주가도 잇달아 고공행진을 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 최근 우크라이나 군수품 지원을 승인한 미국은 드론 제조업체 '에어로 바이런먼트'의 폭탄 드론 '스위치 블레이드' 100기를 리스트에 포함시키기도 했습니다.<br> <br>이 업체의 주가는 석달 만에 52%나 올랐습니다.<br> <br> 전투 곳곳에서 위력을 발휘한 재블린과 지대공 미사일 스팅어 생산에 관여하는 '레이테온 테크놀로지'의 주가도 같은 기간 15% 상승했습니다. <br> <br> 자국 수호에는 현대식 강력 무기가 필수불가결하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각국의 무장 분위기도 잇달아 나타납니다.<br> <br>재무장 기조로 돌아선 독일은 스텔스 전투기 구매 계약부터 체결했습니다. <br> <br>[크리스틴 람브레히트 / 독일 국방장관] <br>"전투기를 구매하는 건 나토 동맹국 및 유럽국들과의 특별한 국방 협력 가능성을 제공합니다." <br><br> 핵심은 결국 각국의 국방비 증가입니다.<br> <br>미국 백악관은 재정 적자를 줄이겠다며 예산 총액을 낮추면서도 국방 예산은 지난해 대비 4.1%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.<br> <br>[크리스토퍼 그래디 / 미 합동참모본부 부의장] <br>"올해 7730억 달러의 국방 예산 요청으로 미연합군은 지구에서 가장 전투력 있는 군대로 유지돼 국민들이 안심할 것입니다." <br><br> 유럽 국가들도 국내총생산 대비 국방비 비율을 2%로 늘리기로 합의했고, 일본 역시 그동안 전체 GDP의 1% 이내로 억제해 온 '방위비 룰'을 올해 70년 만에 깰 것으로 보입니다.<br> <br> 전문가들은 30년 전 소련 붕괴로 사라질 것만 같았던 군비 경쟁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재현되고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세계를 보다, 김재혁입니다.<br> <br>영상편집 : 오성규<br /><br /><br />김재혁 기자 winkj@donga.com